배열기반덱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[자료구조] 9. 큐(Queue) - 덱 ADT / 덱 구현 더보기 9.1. 덱의 ADT 9.2 배열 기반 덱 구현 1) 덱 구현 2) 덱 연산 구현 덱(deque)은 double-ended-queue의 줄임말로서 큐의 전단(front)과 후단(rear)에서 모두 삽입 및 삭제가 가능하다. 덱을 구현하는 방법도 배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연결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. 9.1 덱의 ADT ◾ 객체 : n개의 element형 요소들의 순서 있는 모임 ◾ 연산 • create() : 덱을 생성 • initDeque(dq) : 덱을 초기화 • isEmpty(dq) : 덱이 공백 상태인지 검사 • isFull(dq) : 덱이 포화 상태인지 검사 • addFront(dq,e) : 덱의 전단에 요소를 추가 • addRear(dq,e) : 덱의 후단에 요소 추가 • dele.. 이전 1 다음